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총정리(신청자격, 금액, 방법까지 한 눈에!)
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완전정복
2025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총정리.
신청자격, 소득기준, 보증금·월세 조건부터 신청방법, 제출서류, 선정기준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
신청 마감일은 6월 24일입니다.
🔍 한눈에 보는 오늘의 핵심
2025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은 만 19세~39세 청년 15,000명을 대상으로
최대 20만 원 × 12개월까지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신청기간은 2025년 6월 11일(화)부터 6월 24일(월)까지이며,
서울주거포털에서 온라인으로만 접수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지원 대상 조건, 신청 방법, 지급 일정, 제외 대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📑 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목차
(누르시면 본문 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.)
(누르시면 본문 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.)
📌 1. 신청자격 조건
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.
- 연령: 만 19세~39세 (1985.1.1 ~ 2006.12.31 출생자)
- 거주: 서울시에 주민등록 + 실제 거주
- 가구형태: 무주택 1인 가구
- 계약 조건: 본인 명의 임대차계약 + 보증금 8,000만 원 이하 + 월세 60만 원 이하 또는 환산액 93만 원 이하
- 소득 기준: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📌 2. 신청 제외 대상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
- 기수혜자: 과거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수급자
- 중복 수혜: 청년수당, 자치구 자체 월세지원, 국토부 청년월세 한시지원 중인 경우
- 주택 소유자: 주거용 오피스텔, 지분, 분양권 등 포함
- 부모 명의 임대차계약: 계약 명의자가 본인이 아닐 경우
- 차량·재산: 차량 시가 2,500만 원 초과 또는 재산 총액 1억 3천만 원 초과
- 공공임대주택 거주자: 영구·국민·행복주택 등 거주 중인 경우
📌 3.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
2025년 청년월세지원은 온라인으로만 신청 가능합니다.
- 신청기간: 2025년 6월 11일(화) 10:00 ~ 6월 24일(월) 18:00
- 신청방법: 서울주거포털에서 온라인 신청
- 제출서류:
- 확정일자 있는 임대차계약서
- 월세 이체확인증 (3개월치)
- 가족관계증명서 (본인 기준)
-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
- 제출방식: PDF 파일 제출 권장, 주민번호 뒷자리 삭제 필수
📌 4. 선정기준 및 지급일정
신청자가 많을 경우, 보증금·월세·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우선순위 선정 + 전산 추첨이 진행됩니다.
- 선정 기준:
- 임차보증금이 낮을수록
- 월세 금액이 낮을수록
-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선 선발
- 선정 방식: 조건별 4개 구간 → 인원 초과 시 구간별 추첨
- 지급 시기:
- 1차: 10월 말 (7~9월분 지급)
- 이후 격월 지급 예정 (총 12개월)
- 지급 방식: 본인 명의 청년드림통장으로 입금
📌 5. 청년드림통장 개설 방법
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은 신한은행 청년드림통장을 통해서만 입금됩니다.
- 지정 계좌: 신한은행 청년드림통장 (다른 계좌 사용 불가)
- 개설 기한: 선정자 발표 후 안내된 기간 내 개설 필수
- 주의사항:
- 기존 드림통장 보유자는 정상 거래 가능 여부 확인 필요
- 기간 내 미개설 시 지원금 자동 취소
- 개설 방법: 신한은행 영업점 방문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개설 가능 (추후 별도 안내 예정)
✍ 저자 소개
플러수는 직장인과 부업러를 위한 경제·세금 정보 전문 블로그입니다.
실제 직장인으로서 투잡과 콘텐츠 사업을 병행하며, 종합소득세·4대 보험·부업 절세 노하우 등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실용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✔ 정보 제공 목적에 따라 정확성과 최신성을 최우선으로 하며,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례와 팁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성합니다.
📌 더 많은 실전 재테크 글은 플러수 재테크 카테고리에서 확인해보세요.
댓글
댓글 쓰기
질문은 환영! 욕설,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.